오늘 출근을 하던중 자동차에서 경고음이 들려 계기판을 확인해 보니까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에 경고가 들어와있더라고요. 당황해서 인터넷을 뒤져 문제를 해결하였는데요 여러분께 제가 검색해본 모든 것들은 요약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 공기압 경고등 들어오는 이유
자동차 공기압 경고등이 들어오는 이유는 바로 차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하기 때문인데요 자동차 공기압 경고등이 들어오는 이유는 바로 차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하기 때문인데요

자동차 공기압의 적정 공기압은
최대 공기압이 35psi일 경우 28~30psi
최대 공기압이 44psi일 경우 35~37psi
최대 공기압이 55psi일 경우 40~42psi가 적정 공기압입니다.
최대 공기압 | 적정공기압 |
---|---|
35psi | 28~30psi |
44psi | 35~37psi |
55psi | 40~42psi |
적정 공기압의 25%이하로 공기압이 떨어지게 되면 계기판에 경고등이 뜨게 됩니다.
공기압저하의 이유
타이어펑크
타이어 공기압이 떨어졌다는 것은 어딘가에서 공기가 새고 있다는 뜻인데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는 바로 타이어의 펑크가서 공기가 빠지고 있는경우입니다.
TPMS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타이어의 적절한 공기압의 25% 이하가 되었을 때 계기판에 표시되게 됩니다.
타이어의 미세한 펑크로인해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절한 공기압에 비해 25%이하가 되었을 때 바로 타이어 경고등이 뜨게 되는 겁니다.
차종마다 타이어마다 적정 공기압은 모두 다른데요 적정 공기압 수치는 차량 운전석의 안쪽에 표시가 되어 있으니 확인하시면 됩니다.
만약 운전석안쪽에 표시가 되어있지 않다면 연료주 입구 안쪽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의 오류
타이어 공기압 센서의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차량의 스노우 체인이 공기압 센서의 방해를 줘 경고등이 켜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경찰서, 군부대, 방송국의 경보시스템의 작동을 방해 받아 경고등이 켜지는 경우도 있다는데요 신기하네요. 또 차량 네비 핸드폰 같은 전자 통신 기기의 전파의 방해를 받아 타이어 공기압 정보 시스템의 오류로 경고등이 들어 올 수도 있다고 하네요.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것일까
차의 각 바퀴에는 공기압을 측정하는 센서가 달려있습니다.
휠에 압력이나 온도 센서를 부착해 측정하는 직접식 방식(Direct TPMS)과
공기압 부족으로 인해 휠 스피드 값과 바퀴회전수의 변화를 감지하는 간접식 방식(Indirect TPMS)이 있습니다.
경고등이 들어왔다면 해결방법은?
주행중에 계기판에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들어왔을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바로 차량을 세울 필요는 없고 만약을 대비해 차량의 속도를 낮추고 급커브나 과속을 자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후 안전한 장소에 정차후 타이어의 펑크 유무등을 살핀 후 주행이 가능한 경우 가까운 공업소나 정비소로가 점검을 받고
주행이 불가능 한 경우 보험사에 연락해 견인차를 불러 정비소로 차를 가져가는 것이 안전합니다.
여름과 겨울 온도차로 인해 공기의 수축과 팽창효과로 일시적인 차량의 경고등이 들어오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또 위에서 말한 것처럼 스노우 타이어, 이물질, 또는 경보시스템이 다른 전파의 방해를 받아 일시적으로 켜질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경고등이 들어와 있다면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점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마치며
오늘은 차량 공기압 경고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경고등이 들어왔다고 당황하지 마시고 이글의 써진 대로 대처 하신다면 큰 문제 없이 차량을 운행하실 수 있습니다.
모두 안전에 유의하며 안전운전 하시고 차에 대해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식혜자동차 블로그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